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비준의 정치학 : 국가 간 합의 비준을 둘러싼 대통령과 국회의 선택

Politics of Ratification: Presidential and Legislative Choices over Approving International Agreements

상세내역
저자 구본상;최아진;김준석;홍건식
소속 및 직함 충북대학교;연세대학교;동국대학교;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지 국제정치논총
권호사항 5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05~239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대통령-의회 관계   #비준   #판문점선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국가 간 합의를 둘러싼 대통령과 의회의 선택을 이론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대통령과 의회는 비준과 관련하여 어떠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각 선택이 어떠한 효용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규정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비준 동의의 주체로서 국회의 법적 권한에 머물러 있는 기존 법학 중심의 해석적 연구에서 벗어나 대통령과의 정치적 관계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특히 대통령이 외교적 합의에 대해 의회의 동의를 구할 때 의회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동의와 부동의 외에 해당 상임위원회에 비준안을 계속 계류함으로써 의회 임기 종료와 함께 이를 폐기하는 소극적 반대(shelving)까지 고려한다. 그러나 실제로 의회가 이 소극적 반대를 선택하면, 대통령은 이를 학습하게 된다. 대통령은 향후 자신이 체결한 외교적 합의가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의회 내 정파적 갈등 정도가 심해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고 인식할수록 의회에 동의를 구하는 대안을 포기하고 약식 조약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커지리라 예측한다. 결국 대통령이 체결한 외교적 합의에 대해 국회가 견제할 수 있는 제도적 권한이 커지더라도 그 권한을 정파적으로 이용할 것이라고 대통령이 인식하는 한 역설적이게도 국회는 이를 사용할 기회 자체를 잃게 된다. 이는 최근 ‘판문점선언’ 비준을 둘러싼 대통령과 국회의 선택에 중요한 함의를 준다.

This paper examines presidential and legislative choices surrounding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agreements. To this end, the authors select alternatives a president and a legislature can choose in the ratification process, and consider the utility each option can bring. This approach is different in that it focuses on polit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actors from the existing approach interpreting the legislature’s legal authority to approve international agreements. Besides approval and disapproval, the authors consider the third option (shelving) that a legislature can choose. This passive option of making international agreements pending in relevant standing committees can dispose of them by term expiration of the assembly. However, if a legislature actually chooses the passive alternative, the president will learn about it. As the presiden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ational agreements that he/she has made and perceives a high chance that his/her agendas will face strong opposition based on partisan considerations, he/she is more likely to bypass the legislature in the future. This provides a paradoxical implication that even if a legislature successfully strengthens its institutional authority to check international agreements reached by a president, it will lose the opportunity to implement it as long as the president perceives that the relevant standing committees work in a partisan manner. It also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the president-legislative choice over ratifying the Panmunjom Decla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외교적 합의에 관한 의회 비준 동의의 정치학적 검토
Ⅲ. 적용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