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중학교 과학에서 에너지 교육 내용과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남한 2015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북한 2013년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 초급중학교 자연 과학 교육과정이다. 교과서는 남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과 북한 2013년 의무교육강령에 따른 초급중학교 1학년 자연 과학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에너지 교육 내용은 차이가 있었고, 공통된 내용이 적용되는 학년 또한 달랐다. 둘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전체 페이지는 남한이 북한보다 더 많았다. 셋째, 남한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학생 스스로 학습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하였고, 북한은 학생들의 토론을 강조하였다. 넷째, 남한의 교과서는 북한보다 2.4배 더 많은 삽화를 사용하였고, 남한이 북한보다 다양한 유형의 삽화를 사용하였다. 다섯째, 남북한의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는 일반적 기능에 차이가 있었고, 남한은 북한에 비해 삽화의 보충적, 설명적 기능을 많이 활용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