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재통일은 한민족의 미래와 비전을 업데이트시키기 위해 포기할 수 없는 한민족의 필수적 과제이다. 통일의 방법으로 무력통일, 흡수통일, 평화공존통일이 있다. 이 연구는 통일의 방법으로 평화공존통일, 통일국가 형태로 3대원리(연방국가주의, 권력분립주의, 법치주의)와 5대원칙(단계적 통일원칙, 중도적 통일원칙, 실용주의적 통일원칙, 다양성 수용원칙, 통합의 원칙)에 입각한 단계적 연방국가를 염두에 두고 연구한 연구물이다. 편의상 제1단계 연합형연방제, 제2단계 연방제,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로 구분하고 연구했다. 통일국가를 건설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연합형연방국가 권한과 재정(예산)확보는 필수적 요소이다. 외국 예산확보 사례로 유럽연합, 중국, 북한 등을 살펴보았다. 유럽연합이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으로 제1단계 연합형연방제 재정확보에 의미가 있는 사례라 판단했다. 중국은 시사점으로 제2단계 연방제와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 예산확보 방안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판단했다. 연구자는 북한이 현재 약 80% 시장경제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체제보장이 되면, 중국처럼 사회주의시장경제로 체제전환이 될 것이다. 그래서 제1단계 연합형연방제에서는 남북한 분담금, 관세, 국채, 차관, 비무장지대에 조성될 생태공원과 국제생태도시, 평화도시, 연방수도 등에서 나오는 법인세, 개인소득세 등 일체의 세금과 통일상품권으로 연합형연방제의 예산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제2단계 연방제,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완전통일국가)에서는 통일연방정부의 권한과 공적영역이 넓혀질 것이다. 그리고 북한도 사회주의시장경제로 체제전환 되어 각종세금으로 국가가 운영될 것으로 판단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