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원 코리아(One Korea) 운동과 한인 디아스포라

One Korea Festival and Korean Diaspora

상세내역
저자 전진호
소속 및 직함 광운대학교
발행기관 글로벌일본연구원
학술지 일본연구
권호사항 (3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1-174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원 코리아’ 운동   #한인 디아스포라   #‘하나’   #자이니치   #전진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85년 오사카에서 ‘원 코리아(One Korea)’를 구호로 내건 축제가 시작되었다. 이 축제는 해방 40주년이 되는 해에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의 구별을 없애고 하나가 되자는 운동이었다. 일본사회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동포들이 한국계의 민단, 북한계의 총련으로 나뉘어 이념논쟁과 대립을 하지 말고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갖자는 것이다. ‘원 코리아’ 운동은 대중예술을 통해 일본인의 한국인에 대한 고정 이미지를 바꾸고, 한국계 동포와 북한계 동포의 화합을 이뤄내자는 축제로 시작되었다. ‘원 코리아 운동’은 일본 사회에서 살아가는 재일한인들이 자기 정체성을 가지게 하고, 동포사회의 정신적, 문화적 토양을 두텁게 하는 대중, 문화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원 코리아 운동’은 정치조직이 아니라 문화 활동을 통한 한인 디아스포라의 연대를 강화하는 조직이다. ‘원 코리아 페스티벌’은 그동안, 일본에서 <하나>가 되지 못하고 반목과 갈등을 겪고 있는 재일한인의 화합을 위해 노력해 왔다. 재일한인이 먼저 화합하여 ‘하나’가 되고, 조국과 해외 코리안의 가교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원 코리아’의 실현에 공헌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평화롭고 창조적인 ‘동아시아 공동체‘를 지향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원 코리아’ 운동의 형성과 전개, 일본사회 내의 ‘원 코리아’ 운동의 의미, 한인 디아스포라 운동으로서의 함의, 일본에서의 일시적인 거류(居留)가 아닌 영구한 정주(定住)로서의 ‘원 코리아’ 운동의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