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MaxEnt 모형 분석을 통한 남북한 접경지역의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 예측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for Hanabusaya asiatica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region using MaxEnt

상세내역
저자 성찬용, 신현탁, 최송현, 송홍선
소속 및 직함 한밭대학교
발행기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권호사항 32(47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69-477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생물종 분포 모형   #기계학습   #보호지역   #비무장지대   #식생지수   #성찬용   #신현탁   #최송현   #송홍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은 한반도 중동부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고유종으로, 분포범위가 좁고 개체수가적어 서식지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중요 생물다양성 보호지역(key biodiversity areas: KBAs)으로 지정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ximum entropy(MaxEnt) 모형을 통해남북한 접경지역 내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KBAs 후보지를 설정하였다.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하나인 MaxEnt 모형은 생물종의 출현지점만 기록한 데이터(presence-only data)로도 생물종 분포를편향되지 않게 예측할 수 있는 생물종 분포 모형으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처럼 현장 조사가 어려운 경우 유용한 방법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