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 유형의 다양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현재의 정착지원 정책과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탈북배경청소년들은 대체로 4유형으로 구분되며, 북한출생 탈북청소년, 무연고 탈북청소년, 중국 등 제3국 출생청소년,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출생 자녀이다. 법적 지원은 이들이 어디서 출생했는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중국 출생 자녀의 특성에서 잠재적 이중언어사용 가능성과 중국, 북한, 남한의 세 가지 정체성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 4가지 유형의 청소년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중국 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의 문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통일부의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분석하여 향후 통일 후 사회통합을 위한 중국출생 북한이탈주민자녀에 대한 이중언어사용활용 방향의 효과적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국 출생 자녀의 이중언어사용 활용 방안은 통일 후 한국의 사회통합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논의이다. 이에 따라 중국 출생 자녀의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가 양적 및 질적인 측면에서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China and analyzes current settlement assistance policies and programs available to them. The youth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First, children born in North Korea. The second, unaccompanied children born in North Korea. The third, children born in the 3rd countries such as China. The fourth children born in South Korea. Legal protections are differently applied for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lace of bi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birth children can have potential bilingual possibilities and three identities: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four types choose between are entitled as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China and analyzes settlement assistance Ministry of Unification policies programs and Korea Hana Foundation 2016D in order to suggest more effective assistance for utilzing bilingual language Use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China for social Integration in post-Reunification Korea. These are the most basic problem to be solv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in the future postreunification Ko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ilingual language use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China backgrounds seemed to be on theincrease;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terms of both quality and quantity bilingual language use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China.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