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Common English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s (CENCK)

상세내역
저자 정채관
소속 및 직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행기관 외국어교육연구소
학술지 외국어교육연구
권호사항 32(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7-82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남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북한 2013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   #정채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최신 영어과 교육과정을 조사, 연구, 분석하여, 남한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 영역과 교과 역량의 두 축을 바탕으로 통합 교과 역량 부분을 추가하여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제화 시대와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국제 공용어인 영어를 적극적으로 학습하여 남북한 학생들이 세계인과 의사소통하며 글로벌 지식 공동체에서 맡은 일을 수행하는 인재 양성으로 큰 방향을 제안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학교급에 따른 점진적인 학습 목표 설정에 유의하며 의무교육 기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교급별 지침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때 남북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수준과 지역적 학습환경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한반도 통일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남북한 학생들이 한민족 공동체뿐 아니라한반도 밖 글로벌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글로벌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 기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영어교육 목표의 큰 방향을 제시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음성언어(듣기, 말하기)를 우선 가르치되, 문자언어(읽기, 쓰기)를 나중에 가르칠 것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구분하여 가르치고 학습하기보다는 통합형 영어교육 학습을 제안한다. 학년군별 내용 체계는 내용 요소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고, 남북한 학생 중 어느 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고 남북한 학생들의 영어 습득 정도가 점진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 학습방법의 평가에 있어서 가급적 영어 사용권에서 사용하는 표준어 중심으로 학습하되, 영어 상용 나라만이 아니라 비상용 나라에서 사용되는 세계 영어도 폭넓게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고, 다양한 문항을 중심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 평가해보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