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한 선전영화의 이미지 재현 전략 비교연구: 1960년대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Image Representation Strategies used in Propaganda Films in South and North Korea: Focused on the 1960s

상세내역
저자 김승
소속 및 직함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콘텐츠학회
학술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권호사항 18(37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64-371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선전영화   #북한 기록영화   #북한 영화   #문화영화   #다큐멘터리   #김승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60년대는 남북한 모두에게 체제 안정화가 필요했고 선전영화가 그 최선봉에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남한은 군사정부의 정당성을 옹호하고 정권의 시대적 사명에 복무할 것을 요구했으며 북한은 수령의 무결점과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역설했다. 본 연구는 1960년대의 대내외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그 시기의 남북한 선전영화의 이미지 재현 전략을 다루고 있다. 연구 결과 첫째, 남북한은 정통성 확립을 위해 통치자의 이미지를 각각 강한 지도자와 친근한 지도자로 구축했다. 둘째, 남북한은 자신의 관점에서 명징한 시대정신을 배태하기 위해 동일한 사건에 다른 관점으로 이미지화를 꾀했다. 셋째, 당시 선전영화는 바람직한 국민(인민)상을 제시하고 무결점의 정부를 시각화했다. 1960년대 남북한의 권위적인 정권은 선전영화를 통해 이른바 공식사회를 위한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