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옥수수 부산물과 토끼 분변의 이화학적 성분특성 및 퇴비 제조조건

Composting Metho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y-products from Home Garden Plants and Small Herbivore Feces

상세내역
저자 김대균, 김진영, 이원석, 김혜형, 서명훈, 박인태, 현준기, 유가영
소속 및 직함 경기도 농업과학기술원
발행기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학술지 환경영향평가
권호사항 27(70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95-703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북한   #농업협력   #옥수수부산물   #토끼 분변   #퇴비   #김대균   #김진영   #이원석   #김혜형   #서명훈   #박인태   #현준기   #유가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의 텃밭에서는 비료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남북한 농업분야 협력사업의 하나로 텃밭 부산물을 이용한 퇴비 제조방법의 제안은 실용적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실정을 고려하여 토끼 분변과 옥수수 부산물이 가장 얻기 쉬운 원재료 물질로 판단하고 이를 이용한 퇴비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북한의 시료를 구하기는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남한의 여러 지역에서 옥수수 부산물 시료를 구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비료 성분인 질소의 경우 남한 정도의 공간 규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경기도 지역의 옥수수 부산물을 퇴비화 재료로 활용하였다. 토끼 분변도여러 지역에서 수집 분석하였는데 이를 풀만을 급이한 중국 단동의 분변 시료와 비교하였다. 이 결과 사료를 먹은 토끼 분변의 질소 함량은 풀을 먹인 토끼 분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북한 상황을 고려할 때텃밭에서 키우는 토끼는 사료가 아닌 풀을 급이할 확률이 크지만 재료의 가용성으로 인해 경기도 연천에서 토끼의 분변을 확보하여 퇴비화 재료로 활용하였다. 퇴비화 과정은 토끼 분변과 옥수수 부산물의 혼합비를 1:1, 1:2, 1:3 로 각각 처리하여 60일 동안 진행하였다. 그 결과 1:1 혼합비를 통해 제조된 퇴비는 부숙 완료 후 총 질소 함량은 1.98%이었고 유기물/질소 비도 31.7에 달하여 시판되고 있는 상업용 퇴비와질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