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해금’ 전후 금서의 사회사

Social History of Banned Books Before and After ‘Lifting on a Ban’

상세내역
저자 정종현
소속 및 직함 인하대학교
발행기관 구보학회
학술지 구보학보
권호사항 (8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85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금서(禁書)   #해금(解禁)   #북한   #의식화   #정치 포르노그라피   #정종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1988년 해금 조처가 가져온 효과를 밝히는 중요한 연구들이 발표되었지만, 북한 지식의 해금이라는 차원에만 집중한 측면이 있다. 납월북 작가에 대한 해금은 문학사 뿐만 아니라 학술과 지식장 전체에 큰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었다. 따라서 해금 조처는 전반적인 금서 체계 안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먼저 1980년대 금서의 전체상을 재구성하였다. 1988년의 해금 조처 이전부터 압수와 부분적 해금이 반복되었다. 이 과정에서 생산된 정부 문건, 신문 보도 등을 통해 680여종의 금서 목록을 추출했다. 이 목록이 1980년대 금서의 전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금서 체계의 중심을 형성하는 목록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이 글에서는 이들 금서 목록 중에서도 박정희 유신 정권 시기의 정치의 이면사를 다룬 책들에 주목했다. 돈과 여자와 결부된 권력의 이면을 다룬 이 책들은 일종의 정치 포르노로서 문화사가 Robert Darnton이 분석한 프랑스 혁명과 정치 포르노의 관계와 유사해 보인다. 정권은 이 책을 본 대중들이 유신 정권의 도덕적 타락이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을 두려워한 듯하다. 80년대 금서는 새로운 다양한 해석을 기다리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