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지방 차원 대북교류의 역사적 변천과정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An Analysis of South & North Korea's Historical Local Exchange Process and Policy Implications

상세내역
저자 박성열
소속 및 직함 숭실대학교
발행기관 통일연구원
학술지 통일정책연구
권호사항 27(17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5-171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지방의 대북교류   #역사적 변천과정   #대북제재   #거버넌스   #박성열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지방의 대북교류는 주민들의 통일정책 참여와 남북관계 정상화, 통일 대비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최근 남북한 관계 개선 움직임이 대두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된 지방 대북교류에 영향을 끼친 요인과 관련 제도 및 거버넌스 를 검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난 30여년간 시행되어 온 대북교류 변천과정을 정부의 이념성향과 지방의 대북교류 거버넌스 체계, 교류 성과 등을 기준으로 4단계로 구분하였다. 이어 단계별 영향요인으로서 남한 상황, 국제환경, 북한변수를 상정하여 상호 작용을 검토하고, 거버넌스 체계와 교류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향요인 측면에서 교류 초기에는 남한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한의 태도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나, 북한의 핵과 미사일문제가 점차 부각되면서 UN과 미국 등 국제사회 대북제재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민간주도, 지자체 주도, 반관반민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거버넌스가 표출되었으나,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확대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레짐-남북한 정부-지방-시민단체 라는 중층적·복합적 거버넌스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교류 성과 측면에서는 남북관계의 출렁거림 속에서도 인도적 교류·남북 공동사업 추진 등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중앙정부가 지자체·대북단체 등 교류 주체와 국제사회 제재내용·북한 동향 등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예산을 지원하며, 다양한 거버넌스 주체간 이해관계 조정을 위해 메타 거버넌스 개념 등 보완적 거버넌스 적용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중앙정부가 지자체를 대북협력사업자로 인정하고, 관련법 개정을 통해 대북교류 업무를 지자체 사무로 명시하는 한편, 지방 차원에서 지자체-민간단체-연구기관 간 협조체계 구축 등 자체 역량 강화도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