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중국 조선족의 작가, 김용식, 허련순, 금화를 통하여 두 세계의 만남을 고찰하였다. 김용식은 역사소설을 통하여 중국과 한국의 밀접한 관계를 이야기하였다. 조선족이라는 중간자로서 두 세계의 관계가 순조롭기를 바라는 바람이 있었을 것이다. 그는 한반도의 역사를 중국 조선족의 상상력으로 재해석하였는데, 나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허련순은 조선족의 정체성을 다룬 세 편의 장편소설을 통해 1990년대 이후 두 세계의 만남, 파탄과 비극, 갈등과 화해를 그리고 있다. 결국 자신의 고통을 객관화하고 타자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자기 자신, 그리고 두 세계를 화해로 이끄는 길임을 제시하고 있다. 금화는 한국 북한 중국 조선족 등 다양한 개인 및 집단들의 관계, 중국 동북 농촌사회 및 풍경과 삶의 격변, 복합적인 정체성의 등장, 사회주의 시장경제 및 자본주의 물결에 휩쓸리는 노마드 군상 등 다양한 주제들을 세련된 한글로 형상화하고 있다. 중국 조선족 작가들은 디아스포라로서 자신이 처한 시대와 환경에 따라, 스스로의 모습과 느낌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중국과 한반도, 그리고 지금은 동아시아와 세계에 유랑하고 정착하면서 독특한 감정의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