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세대별 통일의식과 통일교육: 통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inions Towards Unification by Gener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Focusing on Unification Perception Survey

상세내역
저자 김희정, 김선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인문사회 21
학술지 인문사회 21
권호사항 9(165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43-1654
발행 시기 2018년
키워드 #세대별 통일의식   #통일교육   #남북 관계   #정서적 접근   #갈등 해결   #김희정   #김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세대별 통일의식의 차이와 세대별 통일교육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남북문제에 대한 세대별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의식조사 설문결과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령대가 높을수록 통일의 필요성이 높았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연령대별 격차는 갈등사건이 있는 경우 커졌으며 화해와 협력, 그리고 통일의 기대감이 높아지는 경우 줄어들었다. 둘째, 북한의 위협감에 대한 인식과 정서적 반응은 연령대별로 다르며 20대, 60대의 정서적 불안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유사하게 20-30대는 통일의 이유로 전쟁위협 감소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셋째, 세대별 통일교육경험은 학교통일교육 및 사회통일교육 모두 ‘반공 및 안보교육’이 전 연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일교육이 세대별 남북 간 부정적 사건에 대한 정서적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