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MZ 세대 통일교육의 인문학적 학습 도구로서 김수영의 시 분석 : 통일 담론을 통한 한국문화 이해를 위하여

Kim Soo-young’s Poetry as a Humanistic Learning Tool of Unification Eeducation for the MZ Generation :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through Unification Discourse

상세내역
저자 홍순희
소속 및 직함 계명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학술지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권호사항 1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3-15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통일교육   #통일 담론   #통일 설문   #한국문화 학습 도구   #김수영 통일시   #홍순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통일 담론을 통해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김수영의 통일 시 분석을통해 인문학적 통일교육의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다. 통일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일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통일준비와 통일 실현의 주역이 될 MZ 세대 대학생의 통일과 북한에 관한 생각을 정확하게파악할 필요가 있다. MZ 세대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가능한 한 포괄적으로 조사하고그 결과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통일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런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본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과 학년, 성별 구분 없이 통일과북한 인식 관련 설문 조사를 하고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실시한 ‘2024 통일의식조사’ 결과와 비교 분석했다. 통일이라는 국가적·국민적 과업을 준비하고 수행할때 그 주체가 되는 MZ 세대 대학생에게 통일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통일교육의 이정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통일교육을 실시할 때 그목적과 목표, 교육 효과에 부합하는 교육 방법과 학습 도구 또한 적극적으로 개발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일 관련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대상 통일교육의 인문학적 학습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김수영의 통일 관련 시를 분석했다. 김수영은 한국 모더니즘과 평화 및 통일 담론에서 빠질 수 없는 시인이다. 한국 전쟁과 포로 생활, 분단의 아픔을 경험하고 체험한 김수영은 분단과 전쟁의 상흔이 깊은 만큼 통일에 대한 염원을 자신의 시 속에 고스란히 반영했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김수영의 통일 시 분석을 통해 시를 포함한 문학 작품을 통일교육의 인문학적 학습 도구로삼을 수 있는 구체적인 기반을 마련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