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무장지대(DMZ)는 분단과 냉전의 상징이자, 동시에 군사적 긴장 완화와 생태 보전, 국제 협력의 잠재적 장(場)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최근 남북 관계의 악화와 9.19 군사합의 파기로 인해 DMZ의 평화 프로세스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DMZ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군사적 완충지대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발전(SDGs)과 연결된 다층적 협력 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DMZ를 중심으로 SDGs, HDP 트리플 넥서스(Humanitarian-Development-Peace Nexus), NWoW(New Way of Working)를 결합한 협력 모델을 제안하며,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DMZ는 군사․안보적 이해관계뿐 아니라 생태적 자원, 경제적 가능성, 문화적 가치가 중첩된 ‘공유지(commons)’로서 다층적 관리와 협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DMZ의 생태 보전과 평화적 이용, 남북 간 협력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 「비무장지대의 보전과 평화적 이용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이 필요하다. 이 법률은 DMZ 내 군사적 활동 제한, 생물다양성 보호, 통행 안전 절차, 관광․학술 연구 지원, 남북 공동관리위원회 설치 등을 포함하여 다자적 거버넌스의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북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의지와 연계하여, 산림 복원, 공유 하천 관리, 재생에너지 개발 등 환경 협력 분야에서의 구체적 법․제도 마련이 요구된다. 국제사회의 제재와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인도적 지원, 환경 보전, 기후변화 대응 등의 비군사적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법적 장치와 실행 프레임워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DMZ 협력을 위한 다자적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법적 정비의 중요성을 조명하며, 남북 관계의 신뢰 회복과 동북아 지역 안정, 나아가 국제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안한다. DMZ는 단순한 분단의 상징을 넘어, ‘공존과 협력의 상징’으로 재정의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DMZ 평화의 제도적 기반 마련은 한반도의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열쇠가 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