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 (5) - 남북한 서예문화교류 현황분석 및 국제관계에서 공동 대응방안 모색

A review of the status of North Korean calligraphy culture for the restoration of homogeneity of inter-Korean culture (5)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culture exchange between t

상세내역
저자 김정남
소속 및 직함 문화재청
발행기관 한국동양예술학회
학술지 동양예술
권호사항 (6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9-6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남북한 서예문화교류   #한글서예   #서예 인류무형문화유산   #동북공정   #중국서법   #김정남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연구재단의「남북문화 동질성회복을 위한 북한서예문화 현황 고찰」에 대한 대과제 중에서 다섯 번째 소주제인「남북한 서예문화교류 현황분석 및 국제관계에서 공동 대응방안 모색」이다. 대주제「남북 문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관련, 지금까지 작성한 소주제 논문 현황 :①「근대기, 남북한 서예문화 분화 초창기 현황 고찰」(한국동양예술학회.2024), ②「북한의 서예시원 및 주체서예 성장·발전과정 고찰」(한국서예학회.2024), ③「북한의 백두산3대장군 서체와 한글서체분류체계 고찰」(한국동양예술학회.2024) ④「남북한 학교 서예교육현황 비교 고찰」(한국동양예술학회,2024) 남북한은 분단이후 교류가 크게 제한을 받아왔으나 1980년대 탈냉전시기 이후에야 교류가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그런데 서예문화교류는 다른 분야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미흡하였다. 관련된 연구와 축적된 지식도 거의 없는 상태다. 이에 본 연구는 백지상태에서 북한과의 서예문화교류 현황자료를 추적·수집하는 것이 첫 번째 숙제고, 그 속에 담겨진 여러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남북한의 서예문화교류와 관련하여 남북한이 공조·추진할 수 있는 전략적 과제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남북한 서예유산교류와 관련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정립해 나가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한의 서예문화교류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 후반 탈냉전 초기시기이다. 이때 남북한 간의 서예문화교류는 주로 제3국(중국)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둘째, 2000년대 남북한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남북한 간 직접적인 서예문화교류가 가능해졌다. 제 3국 이외에 한반도 권역 내에서 서예문화교류의 계기가 된 것이다. 셋째, 남북한·재외동포들이 모두 서예문화를 한민족 공동문화유산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남북한 서예문화교류에 귀한 근거로 작용할 것이다. 넷째, 남북한 서예문화교류는 정치·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교류와 밀접하게 얽혀있어, 기타분야와 긴밀한 협력관계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남북한 서예문화교류 문호개방에 여성들과 민간단체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다. 여섯째, 재외동포가 남북한 서예문화교류에 있어 완충적 역할을 하였고, 이들의 서예작품에 남한풍이 많이 가미되어 향후 가교적 역할이 기대된다. 일곱째, 북한이 외화벌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작품상품화’ 사업이 남북한 서예문화교류에 주요한 연결고리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서예문화 수준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었다. 여덟째, 국제적 여건 속에서 중국 동북공정에 대비하고, 통일에 대비한 남북한 평화협력과 화해정착의 수단으로 남북한이 ‘한글서예유산’을 세계유산으로 공동 등재하는 방안 등을 적극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