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한 관계에서 외집단 공감에 대한 공동내집단정체성과 조망수용 초점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spective-Taking Foci and Common Ingroup Identity on Outgroup Empathy in the Context of North-South Relations in Korea

상세내역
저자 이하연, 최훈석
소속 및 직함 경상국립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학술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권호사항 3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9-73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외집단 공감,조망수용,공동내집단정체성,남북한 관계,집단 간 화해   #이하연   #최훈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공동내집단정체성과 타인초점 조망수용의 조합이 외집단 구성원에 대한 공감과 외집단 전체에 대한 우호적 행동의도를 증진한다는 가설을 남북한 관계 맥락에서 검증하였다. 한국(남한)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 편의 연구에서 남북한 공동내집단정체성인 한민족정체성을 측정(연구 1)하거나 조작(연구 2)하고 조망수용의 초점을 자기 또는 타인으로 조작하였다. 두 편의 연구에서 일관되게, 한민족정체성이 우세한 경우 외집단(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타인초점 조망수용 조건에서 자기초점 조망수용 조건보다 대상 인물에 대한 공감 수준이 높았고, 이는 외집단인 북한이탈주민 전체에 대한 우호적인 행동의도를 예측하였다. 반면 남한정체성이 우세한 경우에는 외집단에 대한 조망수용 초점에 따른 공감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남북한처럼 장기간에 걸친 적대적 상호작용이 우세한 집단 간 관계에서 외집단 태도를 개선하고 집단 간 화해를 촉진하는 기제로서 외집단 공감의 역할에 관하여 논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