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교육과 국어교육의 접점으로써 교과서 수록 제재에 주목하고, 초등 국어교과서 수록 제재를 중심으로미래세대의 통일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국어교과서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차부터 2015 개정 초등 국어교과서에서 통일 및 북한 관련 제재의 수록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내용 분석을 통해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제재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 7차부터 2015 개정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 제재를 조사한 결과, 총 19건의 북한 및 통일 관련 제재를 확인하였다. 교과서수록 제재를 살펴보면, 북한 어휘 관련 학습 자료가 제일 많았으며, 동화 작품이 일부 수록되었다. 동화 작품의 주제는 분단폭력으로인한 민족적 수난과 고통이었으며, 이산 가족이나 피난민의 삶을 소재로 삼고 있었다.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룩된 통일 및 북한 관련제재 분석 결과, 통일 혹은 북한 소재 동화의 수록 편수가 너무 적고, 동화의 소재 자체가 학습자의 삶과 다소 괴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재제가 문자 텍스트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통일 및 북한 관련 제재의 교과서 수록 빈도상향, 북한에 관해 부정적 시각을 내포한 제재 수록 지양, 미래세대의 체험적 특성을 고려한 제재 수록을 제안하였다.
결론: 교과서에 수록된 통일 및 북한 관련 제재는 학습자에게 통일의식 함양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육의 방편이다. 앞으로 초등 국어교과서 편찬 시에 통일 및 북한 관련 제제를 발굴하여 수록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