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역사자료의 시대는 북한 자료에도 적용되고 있다. 소장 자료의 목록 제공과 원문 이미지, 텍스트까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북한 자료 활용이 가능해졌다는 것이고, 풍부한 북한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자료들이 디지털화 되어 있고, 각 기관의 디지털 자료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은 디지털 역사자료를 이용하는데 기본 전제가 된다. 디지털 역사자료는 제공하는 기관마다, 플랫폼의 성격에 따라, 그 제공 방식이 다양하다. 따라서 사이트별 제공 자료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면서 북한사 기초사료 DB의 구축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함으로써 DB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또한 북한사 기초사료 DB를 기획하고 완성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료에 대한 조사와 정보 분석과정이 일련의 연구과정임을 이 글을 통해 보여줌으로서, 연구자들이 주제 아이템을 선정하고 데이터베이스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과정에 대한 의미도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이 글을 통해 소개되는 북한사 기초사료 DB가 연구자들과 대중들에게 북한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한 역사자료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