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J.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서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더는 존중되지 않는 모습이 명징하게 표출되고 있다. 국내외 학계는 트럼프를 ‘진정한 현실주의자’‘정상적 국제주의 추구’‘개인화된 국제체제 구축’등 다양한 형태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더는 세계를 위해 안보와 경제의 공공재를 제공하지 않고, 미국의 사활적 이해에 국한된 지역에만 선택적 관여를 시도함이 확인된다. 이 과정에서 동맹국·우호국을 향해서는 거칠게 비용과 책임 분담 증대를 요구한다. 더불어 트럼프는 국가보다 개인, 공식 동맹보다 사적 관계를 중시하는 성향을 표출하며 체제 차이를 넘어서 미국의 월등한 힘을 바탕으로 한 협상을 추구한다. 한미동맹도 한국의 비용 분담 확대 차원에서 확장억제에 핵심 두 축인 연합훈련과 전략자산 전개 비용 청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동맹의 성격도 북한 대비에서 역내 중국 견제로 확장하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전시작전권 조기 전환과 연합작전계획 등의 변화도 예상된다. 북한 핵문제는 트럼프가 다시금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와의 ‘수뇌회동’을 모색할 수 있지만, 우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해 북한을 관리하려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합훈련과 전략자산 전개가 중단되는 동시에 북한이 핵과 미사일 실험을 유예하는 합의가 미북간 체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북 비핵화 합의는 트럼프가 북한의 미 본토 타격 능력과 개발 과정 포기를 요구할 수 있으나 북한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한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최종목표를 사수하고, 미국과 발전시켜온 확장억제 제도화를 유지하는 것이 국가안보를 지키는 마지노선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