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국제법상 강제실종 관점에서 본 전시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과제

Efforts and Tasks for Solving the Problem of Abductees from the Perspective of Enforced Disappearance under International Law

상세내역
저자 김태원, 여현철
소속 및 직함 통일연구원
발행기관 한국보훈학회
학술지 한국보훈논총
권호사항 2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1-148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전시납북자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   #강제실종방지협약   #납북피해가족   #인권정책   #김태원   #여현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전시납북자 문제는 ‘강제실종’ 관련해 국제인도법 및 국제인권법 그리고 전환기 정의와 연계된다. 북한에 의해 자행된 전시납북 행위는 국제인도법상 전시 민간인 강제이송 관련한 「제4차제네바 협약」을 중대하게 위반한 것이며, 국제인권법 차원에서도 강제실종이 ‘만연하게’ 또는‘조직적’으로 이뤄지는 경우, 국제법상 인도에 반한 죄가 될 수 있다. 또한 전환기 정의 측면에서 볼 때, 전시납북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사법적 정의와 비사법적 정의가 요구되고 있다. 전시납북자 문제는 사안 자체가 지닌 해결의 당위성은 물론이고 전시납북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의 연령 등 현실적 측면을 고려할 때, 매우 시급한 현안이자 장기적인 접근이 동시에 필요한사안이다. 본 연구는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의 3가지 차원에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 유엔 총회 기조연설 등을 활용해 대화 의지를 지속 천명하여야 한다. 둘째, 국내 차원에서 국민들에게는 납북자 문제가 잊히지 않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 다음 세대 사후 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국제사회 차원에서는 납북자 문제해결을 위한 인권외교를 강화하여야하며, 구체적으로 국가별정례인권검토(UPR) 제도의 활용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