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북조선의 ‘당-국가 체제’에서 발생한 ‘응향 사건’을 중심으로 해방기 ‘김창만-안막 체제’의 문예정책의 향방을 검토한 것이며, 남한의 조선문학가동맹이 만들어낸 역사의 재구성에 대한 점검이며, 연안계가 만든 당문학의 기원에 대한 하나의 탐구이기도 하다. 북조선의 ‘당-국가 체제’에서 북조선로동당의 1946년 12월 회의와 1947년 3월 회의 및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1946년 12월 회의에 이어 1947년 1월 회의는 해방기 문예정책의 중요한 변곡의 지점이다. 1946년 12월에 일어난 ‘응향 사건’은 북조선식 사상개조운동 속에서 발생한 것이며, 연안계의 마오주의를 원용한 대중화론과 연계된 것이다. ‘응향 사건’에 대한 1947년 3월 북조선로동당의 최종 결정은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결정의 결과물을 정리된 형태이며, ‘문예총’ 결정의 실행 주체는 안막일 것이다. 그런데 1947년 4월 남한의 조선문학가동맹이 만든 ‘응향 사건’에 대한 소련식 당문학의 독해틀은 해방기 북조선 문예정책의 실제적인 전개와도 다르며, 그 실제 내용도 차이가 있다. ‘김창만-안막 체제’에서 발생한 ‘응향 사건’은 소련식 당문학의 기점이 아니라 연안계가 만든 당문학의 기원이며,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조선화’를 추구했던 연안계의 문예이론은 주체문예이론의 서곡이자 마르크스주의의 그 붕괴의 서막이다. 또한 연안계가 창출한 북조선식 당문학은 문예에 대한 당의 지배 체제의 성립인 한편 문예에 대한 새로운 속박의 시작이라는 다층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