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ocial Integration Scale for North Korean Defectors

상세내역
저자 이재관
소속 및 직함 숭실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학술지 한국과 국제사회
권호사항 9(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93-91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   #척도 개발   #영토적 소속감   #주체사상   #이재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연구를 수행한 후 북한이탈주민 20명을 개별 심층 면접하여 상위 구인 요소와 하위 구인 요소를 구성했다. 다음은 북한이탈주민 10명으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내용 타당성을 검토한 후, 연구 자료는 척도개발 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척도 예비 문항을 구성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204명으로부터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AMOS 26.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7요인, 전체 문항 수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 하위 요인은 ‘문화 통합’, ‘사회참여’, ‘영토적 소속감’, ‘사회적 연대 의식’,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연결’, ‘신뢰감’으로 명명했다.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RMSEA, CFI, TLI 수치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