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러시아의 전후재건 시나리오와 국제사회 및 북한의 참여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Post-War Reconstruction Scenario of Russia

상세내역
저자 이지선
소속 및 직함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발행기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학술지 평화연구
권호사항 33(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7-14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전후재건   #러우전쟁   #러시아   #군사지원   #개발협력   #이지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장기화됐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트럼프 행정부 재출범을 계기 로 올해 안에 종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러시아 가 주도할 전후재건 사업의 방향성과 비서구 국가들의 참여 가능성을 전 망하고자 한다. 전후재건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논의와 실천은 그동안 주 로 서구사회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주요 비서구 국가들은 자국의 경제적 역량을 바탕으로 분쟁 지역에 대한 개입을 확대 해 왔다. 특히 러시아는 미국과 유럽이 중시하는 ‘자유주의 평화’ 접근과 는 다른, 대체적 성격의 재건 방식을 추구해 왔다. 본 연구는 러시아가 시리아와 크림 반도에서 수행한 전후재건 활동의 원칙과 주요 사업을 재 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러우전쟁 종전 이후 전개될 재건 사업의 목표, 단 계별 및 우선순위 재건 분야, 재원 확보 메커니즘 등을 예측하고자 했다. 러우전쟁의 발발 이전부터 푸틴 정권은 ‘러시아화(russification)’ 정책의 일환으로 합병 지역과 기타 러시아권 지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재건 캠페 인을 추진해 왔다. 이는 푸틴 정권의 국내 지지율을 높이고 국경 지역에 대한 합병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그러나 전쟁 이 후 전개될 재건 과정에서 심각한 인력 및 재원 부족 문제가 예상되며, 이 에 따라 북한을 비롯한 비서구권 국가들의 지원 및 경제 협력이 일부 동 반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연구는 러시아 주도의 전후재건을 계기로 반 서구 진영 내 결속력이 강화되고, 강화된 러북 밀착 관계가 한반도 내 남 북 간 긴장이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