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초등학생 대상 통일교육 인식조사에 근거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 개선 방향

Enhancing Moral Subject’s Unification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sights from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김윤경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교육개발연구소
학술지 한국교육논총
권호사항 46(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9-13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초등교육   #통일교육   #도덕과   #정체성   #민족주의   #김윤경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초등 도덕과 통일교육의 한계점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도덕과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충북 소재 초등학생 779명을 대상으로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응답 결과에 대해서 학년별 응답률 변화 추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통일과 북한에 대한 인식이 복잡해졌으며, 전체적으로 실리주의적인 이유에 근거한 선택지들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보편적 가치 추구나 민족주의 논거는 통일의 이득이 없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분단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학생이 적었으며, 통일과 북한 주민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도덕과 통일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실리주의적 논거의 한계를 인지하고, 학생들이 동포애와 개방성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시민적 정체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현실과 학교에서 접하는 통일 관련 정보의 괴리를 좁히고, 통일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통일교육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