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통일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을 제시하고 이를 개념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통일 리더가 사회적 현장에서 수행해야 할 리더십의 주요 영역을 분석하고, 통일 리더가 추구해야 할 핵심 준거 가치를 제시하였다. 둘째, 통일 리더십의 리더십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논점과 기준들을 역사, 정치, 경제, 심리학, 문학 등 다 학문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셋째, 통일 리더십을 설명하기 위해 기존 전통적 리더십 패러다임의 특징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통일 리더십의 맥락에서 온정적 합리주의의 개념적 틀과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compassionate rationalism leadership)을 통일 리더십과 관련하여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남북한 통일, 리더십, 정책, 행정, 사회복지, 경제, 심리, 철학적인 관점을 망라한 사회과학 문헌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사회과학적 변증 논증법을 택하였다. 통일 리더십은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실현하기 위해 국가, 조직, 개인 등 다양한 행동 주체(stakeholder)들이 발휘해야 할 리더십의 핵심적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통일 리더십은 단순히 제도적 통합이나 경제적 발전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간 존엄과 생명 존중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고 공동체의 심리적 치유를 목표로 한다. 통일 리더십의 영역은 통일을 추구하는 개인과 조직의 역할을 중심으로 크게 여섯 가지 범주, 즉 행정관리 리더십, 장학 리더십, 교수 리더십, 조직 문화적 리더십, 팀 리더십, 권한위임 리더십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통일 리더가 리더십 활동을 통해 추구해야 할 준거 가치에는 윤리성(ethics), 자유성(liberty), 효율성(efficiency), 평등성(equality), 공정성(equity), 사회적 정의(social justice) 등이 포함된다. 통일 리더십의 리더십 패러다임을 위한 논점과 기준으로서 한반도 통일 이후 북한 주민의 정치적 대표성과 사회적·문화적 통합, 경제체제의 선택문제, 제3의 길이 포함되었다. 기존의 주요 리더십 이론들, 즉 개인적 특성이론, 행동이론, 거래이론, 변혁적 이론 및 윤리 이론 등은 통일 리더십의 리더십 패러다임을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의 개념화가 통일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필요하다.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합리주의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온정을 베푸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이 모델은 21세기 통일 리더십이 요구하는 효율성, 평등성, 공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이를 통해 통일의 목적과 취지를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적 리더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특히,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이성적 상황판단, 전략적 예측, 논리적 문제해결, 최적화 수행관리, 포용적 겸손, 공감적 배려, 신뢰기반 임파워먼트, 이타적 협력이라는 8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통일 리더십의 통합적 모델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은 통일 한반도에서 자유와 평등, 효율성과 포용을 조화롭게 실현할 수 있는 적합한 리더십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