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의 학생 상담과 생활 지도의 특징 분석 연구: 북한 교사 출신 통일전담교육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Counseling and Guidance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노은희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평화문제연구소
학술지 통일문제연구
권호사항 37(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5-10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통일전담교육사   #북한 교육   #학생 상담   #상담과 생활지도   #교육   #노은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 교사 출신 통일전담교육사들의 북한 학교에서의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 경험을 남북한의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북한의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의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통일전담교육사들은 남한의 학교에 파견되어 탈북 학생들을 지도하고 상담하는 과정에서 교사 및 상담 관련 전문 인력들과 함께 협력하며 전문성을 쌓아가고 있는 북한 교육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서 탈북 학생들을 상담하고 생활지도 하고 있는 통일전담교육사들의 북한에서의 학생 상담 및 생활지도 경험과 그 차이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북한의 학생 상담과 생활 지도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 학교에서 교사로서의 근무 기간이 6년 이상이고, 남한의 학교에서의 근무 경력이 5년 이상인 통일전담교육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질적사례연구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북한의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의 특징은 ‘학생 상담과 생활 지도 방향성으로서의 주체 사상과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 단위로서의 집단 및 조직 생활’,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 방법으로서의 학생규칙과 생활총화’,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 주체로서의 강력한 권한과 무거운 책임을 지닌 교사’,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를 위한 실천 교육으로서의 사회주의 도덕 교과’였다. 본 연구 결과는 통일 이후 학교 상담과 학생 생활 지도 영역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가야하는지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통일 한국의 미래를 결정지을 교육 분야의 준비와 통일 한국의 다음 세대의 심리적 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