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발화될 수 없는 삶들―탈북 여성, 재난, 그리고 증언의 정치―

Unspeakable Lives―North Korean Defector Women, Disaster, and the Politics of Testimony―

상세내역
저자 임유경
소속 및 직함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학술지 사이間SAI
권호사항 (3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77-415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탈북 여성   #증언의 정치   #발화될 수 없는 삶   #재현의 윤리   #젠더화된 재난   #신자유주의   #다큐멘터리 영화   #임유경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1990년대 북한의 국가적 재난 상황 속에서 탈북 여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생존했는지, 그리고 그들의 삶이 어떠한 담론적․물질적 조건하에서 발화되고 재현되었는지를 고찰한다. 탈북 여성을 단순히 기아와 빈곤의 수동적 희생자로 간주하기보다는, 다층적인 억압 구조 속에서 형성된 복합적이고 교차적인 주체로 개념화함으로써, 구조적 폭력의 피해자이자 협상과 발화의 행위자로서 그들의 위치를 새롭게 조명한다. 특히 분단체제와 젠더 권력, 감정정치와 생존경제의 교차점에서 이들의 발화 조건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었는지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다큐멘터리, 인터뷰, 수기, 출판 등의 형식을 통해 이들의 삶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구성되는지, 그 서사들이 정치 권력, 미디어 자본, 대중 사회와 어떻게 결합하고 교차하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증언’은 단지 진실을 드러내는 행위가 아니라, 다층적 억압 구조 속에서 상품화되고 제도화되는 장치이자 동시에 발화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정치적․윤리적 행위가 된다. 본 논문은 탈북 여성의 주체성이 피해자 담론에 환원되지 않으며, 오히려 통계로는 포착되지 않는 고통의 감각적․윤리적 차원을 드러내고 말해지지 않은 삶의 새로운 차원을 구성한다는 점을 논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말해질 수 없는 삶들”이 목소리의 정치와 재현의 체제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어떻게 발화 가능한 것이 되는지를 사유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