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김정은 시대 화장품 기업 생산관리 변화에 관한 연구: 신의주화장품공장과 평양화장품공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in Operations Management of Cosmetics Enterprises during the Kim Jong Un Era: Focusing on the Sinuiju Cosmetics Factory and the Pyongyang Cosmetics Factory

상세내역
저자 이명훈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북한연구학회
학술지 북한연구학회보
권호사항 2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3-10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화장품공장   #설비   #공정   #품질   #통합생산체계   #이명훈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18년 9월 평양에서 개최하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은 외신에 이례적으로 평양화장품공장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는 다른 산업들을 제쳐두고 화장품공장을 공개할 정도로 화장품산업에 대한 충분한 준비와 자신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서 그동안 북한 화장품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제품에 대한 평가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서만 북한 화장품산업의 성장을 엿볼 수 있었다. 즉, 화장품이 어떤 과정으로 생산되어 이러한 성장을 이룬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 화장품산업의 변화에 대해 생산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다음 제기되는 세 가지 질문에 답해보고자 한다. 첫째, 화장품 기업의 생산관리는 과거에 비해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에 대해 ① ‘설비관리’, ② ‘공정관리’, ③ ‘품질관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것이다. 둘째, 김정은 시대 들어 공장·기업소의 생산관리에서 ‘통합생산체계’가 부각이 되고 있는데, 이를 화장품산업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이에 대해서 통합생산체계를 통한 화장품공장의 생산관리 변화를 살펴보고, 남한 기업의 공장자동화와 비교하여 그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북한에서 화장품산업의 변화를 야기한 요인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 화장품산업의 성장 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북한의 노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