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0년 체결된 중동 아브라함 협정의 핵심 요소와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한반도 평화 구축, 특히 북한선교를 통한 화해와 통합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아브라함 협정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공통 조상인 아브라함을 상징으로 내세워 종교적 화해와 공존을 강조하며, 이스라엘과UAE, 바레인, 모로코, 수단 간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중동 지역의평화 구축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 아브라함 협정의 성공 요인으로는 ① 공통의 위협인식을 통한 협력 동기 형성, ② 경제적 이익과 실용주의적 접근, ③ 단계적 접근과 점진적 신뢰 구축, ④ 종교적 화해와 공존의 강조, ⑤ 제3자의 중재와 지원 역할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한반도 상황에도 적용 가능하며, 특히 남북한이 공유하는 기독교적 유산과 종교적 가치를 통해 평화 구축의 새로운 통로를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선교를 위한 다층적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미시적 층위에서는 탈북민과 개인적 접촉을 통한 신뢰 구축, 중간 층위에서는 남북 종교 단체 간 교류와 문화유산 보존 사업, 거시적 층위에서는 국제 종교 단체의 중재 역할과 종교 자유 옹호 활동을 포함한다. 또한 신뢰 구축 → 종교적 대화 확대 → 종교적 자유 확대의 3단계 접근법을 통해 장기적인 평화 구축 비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종교가 갈등의 원인이 아닌 평화 구축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종교적 차원을 통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