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 정부의 대미, 대북 정책이 한중 관계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진보성향 정부의 대미 정책은 동맹을 중시하지만 외교적 자율성도 확대하고자 했다. 반면 보수성향 정부에서는 동맹강화에 보다 방점을 두었다. 윤석열 정부는 더 나아가 미국의 대중 견제 정책에도 적극 호응했다. 진보성향의 정부에서는 북한의 비핵화, 북한과의 관계 발전을 통한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추구했다면, 보수성향의 정부에서는 북한의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는 한 북한과의 관계 발전을 추진하지 않았다. 한국 정부의 대미, 대북 정책은 한중 교역,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의 협력에 영향을 주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COVID-19 상황과 같은 불가항력적인 상항에서는 그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 한중 교역의 경우 북한 문제에 비해 한국의 대미 정책, 대북 정책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한중 교역이 한국의 대미 정책, 대북 정책의 영향을 받았던 시기는 박근혜 정부 집권 후반기와 윤석열 정부 시기이다. 박근혜 정부 집권 후반기는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중국은 한국이 미국의 MD 체계에 참여하여 중국을 견제하려는 것으로 간주했다. 윤석열 정부는 미국의 대중 견제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윤석열 정부 시기에는 한중 양국의 교역총액과 무역수지 등은 전례 없이 감소했다. 북한 핵실험을 제외하고는,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의 협력은 진보성향의 정부 시기와 보수성향의 정부 시기에서 확실한 차별성을 보였다. 대북 포용 정책을 취한 진보성향 정부 시기 중국은 북한 문제에 협력적 모습을 보였다. 반면 보수성향 정부 시기에는 북한 문제에 대해 중국은 상대적으로 덜 협력적이었고, 오히려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확대시켜 한국 보수 정부의 정책과 상반된 방향으로 추진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