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극우 포퓰리즘에 의한 인권 담론 전유 현상을 한국의 극우 유튜브 채널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비상계엄 선포부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사이의 기간에 극우 유튜브 채널이 ‘인권’을 사용하는 맥락과 레토릭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11개의 극우 채널 약 4천 개 영상의 공통 출현 어휘 분석과 함께 라클라우와 무페의 담론 이론을 적용하여 ‘인권’과 ‘차별’이 출현한 텍스트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전된 피해자성’ 레토릭을 통해 자신들을 피해자로, 소수자를 가해자로 재위치시키는 ‘선택적 인권’ 전략이 확인되었다. 둘째, ‘적대성의 정치’와 ‘등가사슬’을 통해 북한, 중국, 성소수자, 무슬림 등 여러 이질적 집단을 하나의 위협적 타자로 결합하고 있었다. 셋째, 헌법재판소 등 사법부의 신뢰성을 공격하는 ‘제도적 불신’의 언어를 통해 인권 관련 제도의 정당성을 훼손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극우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인권의 ‘퇴행적 서사’는 보편적 인권을 사회적 배제의 도구로 전용하고, 민주적 차이를 적대관계로 재구성함으로써 다원주의적 공론장을 위협하는 이념적 장치로 기능할 위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인권 담론의 위기와 민주적 공론장 재건의 시급성을 제기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