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전개되고 있는 대북한 관련 논쟁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정향이 크게 다원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추세는 북한에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심지어 친한적인 성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들 정향들은 현 중국 지도부의 고민을 반영하고 있고, 동시에 대북정책에 기반이 될 것이다. 중국의 대북정책 형성은 미중관계, 한국의 대중정책, 북한의 행태 등 다른 여러 변수의 영향을 동시에 받을 것이다. 우리는 북한관련 논쟁 변화의 기저를 읽으면서 이를 우리의 국익과 국가안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현재 조정 중에 있으며, 중국 역시 분명한 전략을 지니고 있지 못한 상황임을 말해준다.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북정책은 대북관여정책, 북핵 압박정책, 북핵 압박-경제 관여 혼용정책의 순으로 강조점이 변화하고 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화에는 명백히 반대하지만, 현 단계에서 북한을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의 외교나 북중관계를 정태적으로 인식하는 사고에서 일단 탈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진핑 시기 중국의 대북 정책조정 추이는 중국과 한국의 이해가 불일치하는 부분을 과감히 축소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제기된 사드 문제로 인한 한중 간의 갈등은 양국 상호 간에 Win-Win게임이라기 보다는 Lose-Lose게임으로 가는 측면이 있어 안타깝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