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사회적 편견을 확인하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에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 편견은 성, 문화, 장애, 가족, 계층, 북한이탈주민 등 총 6개 영역에서 그 수준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편견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학력, 반편견 교육경험에 따라 사회적 편견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반편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보육교사들에 대한 보수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