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진로정체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위해 우선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들어와 정착하는 단계에 초점을 둔다. 그것은 그들의 진로실태에 대한 생애사적 분석을 함으로써 경력경로과정의 특성과 문제점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이 하나원에서 받는 직업교육과 진로지도가 북한에서의 직업경험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에 들어와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북한에서의 경력이나 자격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 그 이유는 그들에 대한 진로 상담과 연구가 실증주의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개인의 외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에 대한 진로상담과 연구는 개인의 내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진로상담을 구성주의적 자기구성모델,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현대사회의 진로발달 추동요인 개별화와 관련이 있다. 진로발달추동요인의 개별화가 나타나는 이유는 현대사회의 기술발달과 산업구조의 변화, 그리고 글로벌 경제현상과 관련이 있다. 또한 그와 함께 직업 변동이 심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개인의 진로정체성 형성이 진로상담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른다. 진로정체성은 개인의 진로맥락에서 자기 자신을 규정하고 진로기회의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그것은 개인이 자신의 진로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진로정체성은 성찰, 자기정체성, 회복력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그 요인들은 개인의 진로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진로발달 추동요인 개별화의 세 가지 요인이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정체성 형성 문제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를 고찰해 본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들어와서 겪는 경력경로 과정의 사례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나타나는 진로정체성 형성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탐구과정에서 논자는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상담과 연구가 실증주의 패러다임을 지양하고 구성주의적 패러다임과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