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03-2015)

A Content and Methodological Review of Qualitative Inquiry Concerning Immigrant Youth: Analysis of Articles in Domestic and North American Scholarly Journals (2003-2015)

상세내역
저자 김은경, 김현주
소속 및 직함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상담학회
학술지 상담학연구
권호사항 1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45-270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다문화 청소년   #다문화 가정   #이주배경 청소년   #질적 연구   #연구동향   #김은경   #김현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3-2015년 중 국내 및 북미 학술지에 게재된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질적 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총 78편의 학술지 논문을 국내와 북미로 구분하여 발표 연대, 학술지의 학문 분야, 연구 대상, 연구 접근법,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및 북미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질적 연구는 2008년 이후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과 북한이탈 청소년이, 국외에서는 이주배경 청소년 일반이 주요 연구 대상이었다. 셋째, 국내는 사례연구, CQR, 근거이론 접근, 현상학 등 연구 접근법이 비교적 고루 분포된 반면 북미 연구는 CQR과 근거이론 접근에 집중된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CQR과 근거이론 접근 비중이 높은 북미 연구는 연구자, 면접자, 평정자의 역할 분리나 외부 감사자의 감수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는 방법을 보다 빈번하게 적용하였다. 다섯째, 국내 연구의 주제는 적응 양상 및 과정에 집중되었고, 북미 연구의 주제는 사회적 관계, 진로와 경력 등 보다 다양하게 분포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질적 연구 접근법의 활용 및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질적 연구 주제 확대를 위한 학술적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