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The Purge of the Soviet Fraction and Nationality Problems in Postwar North Korea(1954 –1958)

상세내역
저자 조수룡
소속 및 직함 서울여자대학교
발행기관 동북아역사재단
학술지 동북아역사논총
권호사항 (5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46-287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소련계   #고려인   #국적   #공민   #숙청   #조수룡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에서는 파북 고려인에 대한 국적 전환 문제가 제기된 배경과 그것이1955~1958년 시기 반소련계 캠페인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전 후 파북 고려인과 북한 현지인은 사회·경제·문화적 차이로 인한 이질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특히 당·정·군에서 요직을 차지하고 있는 많은 고려인들이 소련 공민이라는 사실은 그들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만드는 주요한 배경이 되었다. 1950년부터 북한 측에서 국적 전환 문제를 제기하였지만, 이들 다수는 국적 전환을 거부하였다. 이들은 대체로 소련을 자신의 조국이라 여겼고, ‘당과 소련 정부의 의지에 따라 조선을 돕는 국제주의적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북한에 왔다고 생각하였다. 고려인이 장차 북한에 정착하여 자신들과 동화되어야한다고 생각한 현지인과의 인식 차이는 향후 북한의 정치적 변동 과정에서 심각한 갈등으로 격화할 소지를 안고 있었다. 1955년 8월 김일성은 고려인들의 국적 전환 문제를 소련 측에 공식적으로제기하였다. 또한 12월부터는 본격적인 소련계 비판과 대중적인 반소련계 캠페인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김일성은 1955년 12월 전원회의, 12월 확대상무위원회, 1956년 1월 17~18일 상무위원회에서 문학·예술 분야에서 소련계의 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비판을 가하였다. 그 결과 소련계는 정치적으로 몰락하였지만 고려인들이 심리적으로 매우 위축되면서, 국적 전환에 더욱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었다. 1958년에 이르러서야북한 정부는 소련 정부와 「이중국적자의 공민권 문제 조절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여 재북 고려인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였지만, 이미 대부분의 고려인은 북한을 떠난 뒤였다. 결국 고려인과 현지인 간의 근본적인 조국관 차이는 국적 문제가 처리되는과정에서의 갈등과 이후 반소련계 캠페인을 추동한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려인이 북한 잔류를 택하지 않은 원인으로는, 그들의조국관 외에도 고려인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한 북한 당국의 반소련계캠페인과, 이에 의해 현지인 사이에 확산된 반고려인 정서가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