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실패국가에 대한 국제사회 개입 문제: 북한 관련 함의와 대응방안에 소고

Legality of Intervention in Failed States: Implication in Case of Contingency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선표
소속 및 직함 영국 에딘버러 대학
발행기관 서울국제법연구원
학술지 서울국제법연구
권호사항 2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46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실패국가   #인도적 간섭   #보호책임   #무력사용 금지의 원칙   #불간섭의 원칙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북한 급변사태   #민족통일   #민족 자결주의   #김선표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실패국가론, 인도적 간섭론, 보호책임론 그 자체는 현재 무력사용을 원칙적으로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는 유엔 헌장상 규정된 무력사용의 예외를 새롭게 제공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국가론, 인도적 간섭론, 보호책임론은 유엔헌장 제7장상 안전보장이사회가 무력사용 승인을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평화에 대한 파괴나 평화에 대한 위협의 외연을 넓히고 헌장 제7장상 승인의 정당성을 보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북한에 대해 보호책임론을 적용한다는 것은 유엔 안보리 상임위를 통한 개입의 다자화라는 측면을 가진다는 것을 감안하여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우리는 민족자결권의 논리에 기초하여 남북한이 하나의 통일을 이룩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여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