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 또래상담자들로 하여금 탈북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및 편견을 감소시키고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탈북청소년의 학교부적응 요인, 탈북청소년에 대한 고 정관념 및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탈북청소년 심층면접, 남한 청소년 포커스그룹 인터뷰, 탈북청소년 지도교사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총 4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는데, 1회기는 남한청 소년의 탈북청소년에 대한 편견인식, 2회기는 탈북청소년의 신분노출 문제이해 및 다문 화수용성 함양, 3회기는 탈북청소년의 학교생활 돕기, 4회기는 탈북청소년의 강점 이해 및 또래상담자 역할이해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중고등학 교 또래상담자 총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탈북청 소년)에 대한 호감도, 북한이탈주민(탈북청소년)에 대한 정서, 다문화인식을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아울러, 청소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회기평가 및 종합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이 통제집단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호감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북한이탈주 민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는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또한, 긍정적인 정서와 다문화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관점 평가에 서도 92%의 청소년이 ‘매우 만족’으로 응답하였으며, 8%의 청소년들도 ‘만족’으로 응답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의 의 의와 한계점을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