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GATT/WTO체제에서의 대북 경제제재에 대한 고찰: 2006년 UN 결의안 1718호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Economic Sanction Measures against North Korea under the GATT/WTO System: Prior to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718 of 2006

상세내역
저자 PARK JEONG JOON
소속 및 직함 한림대학교
발행기관 북한학연구소
학술지 북한학연구
권호사항 13(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9-173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GATT/WTO   #UN   #대북제재   #경제제재   #PARK JEONG JOON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UN 체제를 중심으로 한 국제정치질서와 WTO를 중심으로 한 국제경제질서는 국제사회의 안정을 위해 상호보완적 공생이 매우 중요한데, 국제사회의 안보를 목적으로 UN 차원에서 경제제재 조치를 발동할 시 이는 종종 GATT/WTO 체제 하 자유통상의 원칙과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N 차원에서 주요 제재대상국인 북한은 GATT/WTO 비회원국으로써 상기 딜레마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고, 경제제재의 국제정치적, 국제경제적 합법성을 동시에 토대로 할 수 있는 예외적인 상황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효성 높은 제재를 위해선 제재국들의 통일된 대북관 및 적극적 참여가 중요한 바 본 연구에서는 UN 제재와 별개로 GATT/WTO 체제에서 국가 단위의 합법적, 자발적 대북 경제제재의 과거 사례를 비교·연구해보고 UN 제재의 지향과의 합치성을 모색해보았고 의미 있는 괴리를 발견했다. 이는 향후 북한에 대한 UN 제재에서 설령 중국의 협조가 현실화되어도, 북한이 기타 국가들로의 무역전환(trade diversion)을 통해 제재의 실효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UN의 안보리 결의 중에서 직접적으로 무역, 금융 등 경제제재에 대한 국가들의 동참에 외부적 유인을 제공한 2006년 UN 결의안 1718호 이전까지로 연구의 범위를 국한하여, 국가별로 자주적 대북통상의 기치를 비교하고 분석해 보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