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 27일 5․18항쟁이 진압된 직후부터 진상규명 투쟁이 전개됐다. 그 결과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 5․18항쟁이 제자리를 찾게 됨으로써 희생자들은 망월동 국립묘지로 이장되고, 해마다 5월이 되면 광주의 금남로에서는 주먹밥을 나눠주는 행사를 열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폭동’이나 ‘내란’으로 왜곡하려는 세력들이 있다. 이들은 공공연하게 5․18항쟁을 폄하하며 ‘북한의 사주’를 받거나 ‘북한의 특수부대원들이 침투해 일으킨’ ‘폭동’으로 5․18항쟁을 폄훼한다. 그 시작은 시민들의 의로운 저항을 진압했던 신군부의 왜곡으로부터 출발했다. 당시 시민들은 공수부대의 폭력과 야만에 맨 주먹으로 맞섰다. 총검으로 무장한 계엄군에 대항해 처음에는 돌과 화염병을 던지다 계엄군의 발포가 있자 무장하고 대항했다. 정부와 군은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거의 맨 주먹으로 저항하던 시민들을 불법행위를 일으킨 ‘폭도’로 몰아가고 시민들의 항쟁을 ‘폭동’으로 규정했다. 5․18항쟁을 짓누르며 집권한 신군부는 처음부터 5․18항쟁을 ‘폭동’으로 폄하했고, 더 나아가 ‘김대중내란음모사건’이 실행된 것으로 활용했다. 그리고 당시의 상황을 기록했던 군 자료에는 신군부의 입장이 고스란히 담겨있으며, 5․18항쟁기의 광주 시내의 상황을 기록하던 순간부터 왜곡은 시작됐다. 그로부터 계속된 5․18항쟁의 왜곡과 훼손은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순간 마다 증폭됐다. 하나의 역사적 사건일지라도 누가 기록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성격의 자료가 만들어질 수 있다. 5․18항쟁 자료는 기록물이 사실을 정직하고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어떻게 기록물을 평가할 수 있을지는 추후 고민할 과제로 남겨두겠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