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통일교육은 처음으로 통일에 대해 접하거나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며, 학교 통일교육이 사회통일교육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대단히 높다. 따라서 정부는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선정하여 기존의 주입식 학습에서 벗어나 적절한 교수학습법에 대한 탐구, 학교 통일교육의 목표와 원칙, 방향에 부합하는 내용 제공에 대한 모범사례를 발굴하고 전 학교로 확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통일교육의 방식과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학교 통일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통일교육 연구학교의 교육 내용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통일교육 연구학교 총47개교를 대상으로 통일교육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초등학교는 프로그램, 환경조성, 체험, 교육과정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는 통일의식, 프로그램, 환경조성, 지역사회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는 참여, 네트워크, 통일의식, 체험활동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별로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통일교육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환경조성, 북한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는 다소 획일적인 모습이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며, 교육과정과의 연계는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