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좌우 이데올로기 대응 양상

A Study of Ideologies in the Works of Hwang Sun-won, 1945-1948

상세내역
저자 강정구
소속 및 직함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우리문학회
학술지 우리문학연구
권호사항 (5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1-296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황순원   #이데올로기   #월남인   #사회주의   #조선문학가동맹   #전재민   #강정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은 해방 이후의 시기에 북한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월남 직후 임화 주도의 조선문학가동맹 이데올로기, 남한의 반공주의․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중상층 월남인 유형의 대응․적응 양상을 잘 보여줬다. 그동안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은 주로 순수서정이나 적극적인 현실 형상화․비판으로 언급되었으나, 좌우 이데올로기 대응이라는 측면에서는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 이 논문에서는 호미 바바의 탈식민주의론과 슬라보예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참조해서 시 6편과 단편소설 7편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우선 황순원은 시 6편과 소설 「술 이야기」에서 모든 계급의 인간이 지님에도 그 논의가 허용되지 않는 사적 소유의 욕망과 비(非)계급적․성애적인 사랑을 소재화했는데, 그 소재화 자체가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시선을 균열내는 일종의 응시가 되었다. 그리고 황순원은 소설 「아버지」․「황소들」․「집 혹은 꿀벌이야기」에서 10월 항쟁․통일전선 등의 논리를 펼친 조선문학가동맹의 이데올로기를 따르면서도, 엉터리 흉내를 내거나 지주/소작농의 이분법적인 논리에서 벗어나는 사고를 하면서 그 이데올로기를 위반했다. 마지막으로 황순원은 소설 「목넘이마을의 개」․「두꺼비」․「담배 한 대 피울 동안」에서 전재민이 문제집단이라는 남한 사회의 이데올로기적인 환상이 주요 우익 집단이나 전재민 내부에서 있음을 지적․비판했다. 이렇게 볼 때에 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은 해방 직전까지 북한 사회에서 상층계급으로 살다가 해방 이후에 남한 사회로 건너온 중상층 월남인이 해방기의 현실체제를 형성한 2좌1우 이데올로기에 대응․적응한 양상을 비교적 잘 보여줬다. 황순원은 2좌1우 이데올로기의 혼란․폭력․강요․선택 속에서 반공주의․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나름대로 수용하고 그 속에서 생존을 모색한 중상층 월남인의 전형적인 유형이었던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