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 및 시사점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by Using Text Network Analysis

상세내역
저자 윤병훈, 성용은
소속 및 직함 경동대학교
발행기관 치안정책연구소
학술지 치안정책연구
권호사항 3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8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연구경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정책연구   #윤병훈   #성용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치안정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관련 주제어간 관계성을 분석하여 치안정책연구의 최근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향후 치안정책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 제31권 제1호(2017년 3월 발행)까지 치안정책연구소에서 발행된 치안정책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은 첫째, 연구주제의 빈도분석 결과, ‘경찰’, ‘CPTED’, ‘경찰공무원’, ‘북한’, ‘수사’라는 연구주제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어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경찰’을 중심으로 연결중심성은 ‘범죄’, ‘수사’, ‘북한’, ‘인권’, ‘보안경찰’, ‘경찰활동’, ‘인권침해’, ‘통일’, ‘범죄예방’ 등이 주요 연구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셋째, 연구주제어 중 연결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어는 ‘범죄’, ‘수사’, ‘북한’이라는 연구주제가 각각 총 32개의 연구주제어 중 약 2개의 연구주제어와 관계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은 향후 사이버안전, 테러, 외사, 경무기획, 정보화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치안정책 연구로 확대 및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변하는 치안환경의 변화를 대변할 수 있는 주요한 키워드(예, 사이버테러, 제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신종 사이버범죄 등)의 연구주제로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이는 우리나라 경찰의 치안정책 개발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학술적ㆍ정책적 의의와 함께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