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능력 고도화가 지속되면서 한국은 다양한 군사적 대응책을 강구하면서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공식화하고 있다. 이 글은 피해제한(damage limitation)과 억지(deterrence)의 이론적 관점에서 사드가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드는 유사시 한국이 감내해야 할 군사적·대중적 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사드는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 먼저 공격하더라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도록 하는 거부적 억지를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고 주장된다. 이 글은 그러한 사드 긍정론이 지지자들의 기대만큼 설득력을 가지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피해제한과 억지 능력의 전략적·군사 기술적 측면을 검토한 후, 이 글은 사드의 유용성은 북한 핵능력의 고도화 추이에 적절히 대응하는데 한계가 분명하고, 사드가 제공하는 피해제한 및 억지 능력의 강화의 이점은 그 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하고, 반면에 사드의 배치에 결부된 비용과 위험성은 과소평가되기에 한국 안보를 위해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