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한교육의 수동적 혁명으로서의 특징과 통일교육의 과제

Passive Revolu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안승대
소속 및 직함 대구미래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지 교육사상연구
권호사항 31(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5-178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반공교육   #주체교육   #수동 명   #통일교육   #남북한교육   #안승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남북한교육의 수동 명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한 통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이 있다. 남북한 교육의 수동 명은 을 무력화하는 보수 복고 략과 동맹세력을 포섭하는 개략으로 진행되었다. 남한의 반공교육은 1차 국가형 성기(1945-1960)의 일민주의 교육과 새교육 운동, 2차 자본주의 산업화시기(1961-1987)의 반공 교육과 개발주의 교육, 그리고 민주주의 시기(1987-재)의 3차의 수동 명기의 안보교육과 민주주의 교육을 통해 이러한 수동 명을 수행해왔다. 북한의 주체교육은 사회주의 교육기 (1945-1967)의 반미・반종 교육과 사회주의 교육, 생산기술교육, 주체교육 1기(1967-1994)의 주체교육과 민족제일주의 교육, 주체교육 2기(1994-재)의 주체교육과 실리주의 교육을 통해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수동 명을 수행해왔다. 이러한 남북한 교육의 수동 명은 보수 근화와 지속성, 반복성과 유사성, 정교성, 사상과 정치의 우선성이라는 공통과 남한교육의 과 로부터의 결합, 배제와 포함, 참호, 지배헤게모니의 약화, 탈이데올로기성, 탈 국가 심교육체제, 북한 교육의 에서 으로, 획일성과 강제성, 항상성과 변용성, 지배 헤게모니의 심화, 이데올로기로성, 국가심교육체제라는 차이을 지니고 있다. 이로부터 도출되는 통일 교육에의 시사은, 수동 명의 방식으로의 통일교육에 한 비, 장기 지속 통일교육 랜의 필요성, 정교성을 지닌 통일교육, 남북의 차이에 따른 통일교육 략, 남한의 탈 수동 명을 기반으로 하는 통일교육 등을 들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