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노인이 인식한 웰다잉(well-dying)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족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Well-Dying for the North Korean Elderly Refugees :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family support factors

상세내역
저자 김현경
소속 및 직함 호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웰니스학회
학술지 한국웰니스학회지
권호사항 12(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5-288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The North Korean elderly refugees   #well-dying   #socio-demographic factor   #family support factor   #김현경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노인이 인식한 웰다잉을 인구사회적 특성과 가족지지 요인으로 파악하여 그들의 자살이나 고독사 등을 예방하고 이주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기간은 2016년 10월 5일부터 12월 15일까지였으며 서울, 경기, 인천을 중심으로 하나센터, 지역사회복지관, 주민자치센터, 지역보건소, 지역교회 및 지역성당을 통해 소개받은 65세 이상 북한이탈노인 총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SPSS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노인이 여성인 경우, 혼인상태에 있지 않은 집단(사별, 이혼, 별거), 경제수준이 나쁘다고 응답한 집단, 북한 및 제3국에 잔류가족이 있는 집단이 웰다잉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노인의 웰다잉 인식은 가족지지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웰다잉의 하위요인으로써 친밀감-통제감-임상증상 순위로 중요성이 제시되었다. 끝으로 북한이탈노인의 웰다잉 연구 결과의 독특성에 기반 한 하나센터 및 지역사회 역할 등을 강조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