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독일 통일과 신연방주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 체제의 변화

The Transform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Civic Education in New Federal States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차조일, 원준호
소속 및 직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행기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학술지 사회과교육연구
권호사항 24(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1-104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독일 통일   #남북 통일   #정치교육   #교사 양성 체제   #차조일   #원준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독일 통일과정에서 나타난 신연방주의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 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남북통일 이후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 체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독일 신연방주에서의 교사 양성 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구동독에서는 정치교육 담당 교사 양성이 중앙 정부의 지침에 따라 통일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전환기 구동독지역 전체에 적용된 임시 규정이 존재하였고, 이후 신연방주들이 문화고권에 근거하여 각주의 실정에 맞는 별도의 교사 양성 체제를 구축하였다. 셋째, 브란덴부르크 주는 포츠담대학의 사회과 교사 양성 과정을 1단계 교사 양성 과정으로, 그리고 주립 교원양성원과 실습학교의 협업 체계를 2단계 교사 양성 과정으로 운영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본 연구는 남북통일 이후 정치교육 교사 양성 체제 재구조화를 위해 북한의 정치교육 교사 양성 체제에 대한 이해 및 과도기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전환기 이후 안정화를 위한 로드맵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