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3만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맞아 통일 전에 통합을 고민하는 한국의 현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북한말·북한인·언어통합에 대해 어떻게 의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남북 언어통합의 방향을모색하는 데 있다. 세대 간 흐름에 맞는, 과정으로서의 언어통합 방안에일조하기 위해 연령층별로 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그간 언어 적응의 몫이 북한이탈주민에게 편중되어 있음을 주목하고, 남북 언어통합의 공동주체로서 남북한인이 함께 협력의 길로 나가야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국가 차원의 거시적 측면의 노력과 함께 일상에스며드는, 그리고 일상을 찾아가는 미시적 측면의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고, 이를 위한 공동 혹은 연령층별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덧붙여 남북언어통합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국어 분야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 다문화 교육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다각적 협력이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