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통일독일의 동독사 연구성과 관점에서 본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에 대한 분석과 평가

Anaysis and Evaluation of the description of North Korea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school in viewpoint of research achievements on history of East Germany after German unification

상세내역
저자 김상무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교육연구소
학술지 교육문화연구
권호사항 23(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65-388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독일통일   #동독사   #한국사   #북한   #고등학교   #교과서   #김상무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내용을 통일독일의 동독사 연구성과 관점에서 분석하고평가하는 연구이다. 독일통일 이후 동독사 연구 성과가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에 주는 시사점을도출하여 교과서 분석준거를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교 한국사 교과서 8권의 북한 서술내용을분석하고 평가했다. 한반도 분단사에서의 북한사의 위치, 국제정세, 남・북한 상호관계, 북한사 전개과정, 남・북한 비교, 남한사와 북한사의 서술 분량 차이를 분석준거로 삼았다. 연구결과 북한사는 한반도 분단사의 부록처럼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분단을 가져온 동-서 냉전을중심으로 한 국제정세는 별도의 분석이나 평가 없이 역사적 사실 위주로 서술되고 있다. 남・북한 상호관계와 관련하여 대립과 경쟁, 교류 및 협력은 적절하게 서술되고 있지만, 양 국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교과서만 언급하고 있다. 북한사 전개과정 서술에 있어서 통사와 구조사, 일상사의 적절한 균형을이루는 교과서는 없다. 또한 일상사 관련 서술이 부족하고, 독재체제와 주민들과의 관계를 다루고있는 교과서도 없다. 북한사의 업적은 거의 기술하고 있지 않고, 일부 교과서에서만 한정된 주제로남・북한을 비교하고 있다. 교과서의 북한서술의 과제로 북한 서술 분량 확대, 한반도 분단사 관점에서의 북한사 접근, 남・북한적대적 의존관계에 대한 서술, 통사적 접근의 서술 필요, 일상사 내용 확대, 지배체제와 주민들과의관계 서술, 양 국 발전과정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남・북한 비교를 제시하고 있다.
목차